외과

처인구외과 팔과 손저림, 두통, 안구통증 의외의 원인

용인서울병원2 2022. 8. 23. 19:47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의하면 2021년 목디스크로 병원을 방문한 환자수는 99만3477명으로 2017년 93만8964명에 비해 약 5.81% 증가했다고 합니다. 이는 팬더믹이후 재택근무와 온라인 수업의 확산으로 PC와 스마트폰 사용이 늘어난 것과도 비례하고 있습니다.

 

 

 

 

목디스크는 경추 추간판의 수핵이 과도한 압박으로 인해 제 자리를 이탈하거나 섬유륜 파열로 인해 주변의 척수신경을 자극하여 통증과 저림을 유발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통증과 저림이란 신경압박 증상이 목에만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목의 통증뿐만 아니라 어깨 통증과 결림, 뒷골이 땡기는 두통, 눈이 빠질 것 같은 안구통증, 심지어 팔과 손가락 저림까지 모두 경추신경 압박으로 인한 증세일수도 있습니다.

 

 

 

 

 

이는 경추를 지나는 척수신경이 우리 몸의 중추신경으로서 각 말초신경과 연결되어 우리 몸의 신호를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경추신경 압박 위치
주요 증상
경추 1번
현기증, 고혈압 / 저혈압 증세
경추 2번
안구통증 및 시야 저하, 경추성 두통
경추 3번
심장 두근거림, 비염, 턱관절 통증
경추 4번
흉곽 통증
경추 4번 ~ 경추 5번
어깨 통증과 결림
경추 4번 ~ 경추 6번
경추성 두통
경추 6번 ~ 경추7번
팔과 가운데 손가락 저림
경추 7번 ~ 흉추 1번
새끼손가락 저림

 

 

 

 

 

무리하게 운동을 하거나 교통사고 같은 강한 외상을 입은 것도 아닌데 이러한 목디스크로 인한 증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척추는 이런 일시적이고 강한 압박보다는 작지만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압박이 더 큰 척추 압박과 변형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컴퓨터앞에서 학업이나 업무를 보기 위해서는 자연스럽게 고개를 앞으로 내밀 수 밖에 없습니다. 이때 고개를 내밀거나 숙인 정도에 따라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 압박도 달라집니다. 우리가 정면으로 서 있는 상태에서는 성인 두개골 기준으로 약 4.5~5.4kg의 하중이 경추에 전달됩니다.

 

 

 

 

 

고개를 1cm씩 앞으로 내밀때마다 경추 마디뼈마다 2~3kg씩 하중이 증가한다고 합니다. 경추가 총 7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으니 경추 전체의 무게는 1cm씩 앞으로 내밀때마다 14~21kg씩 증가하는 셈입니다.

 

 

 

 

 

또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를 보기 위해 고개르 숙일 때도 경추에 압박이 가해집니다. 0도를 기준으로 4.5~5.4kg일고 할 때 모니터를 보기 위해 고개를 내미는 15도 정도 각도에서는 12.2kg, 30도에서는 18.1kg, 45도에서는 22.2kg입니다. 만약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를 보기 위해 고개를 푹 숙일 때가 60도 정도인데 이때 가해지는 압박은 무려 27.2kg입니다. 5살 정도 어린이의 평균 몸무게가 20~25kg 안팎이고 쌀 한가마니 무게가 30kg 정도란 것을 감안하면 실로 엄청난 무게 압박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보는 것을 잠깐동안 일시적으로 하는 행동이 아니라 업무나 학업을 위해 지속적으로 하고, 4~6시간 이상 본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속적인 경추 압박 요인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급성으로 목디스크가 찾아왔다면 근육통과 팔저림 등으로 나타나고, 만성으로 목디스크가 찾아왔다면 두통, 현기증, 가슴 답답함, 팔저림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급성 단계라면 신경차단술, 도수치료, 물리치료, 약물치료, 주사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증상 해소를 노려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성 단계로 접어들었다면 신경 유착 정도가 심화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보존적, 비수술 치료로는 만족스런 결과를 도출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척추내시경" 같은 수술적 치료를 통해 적극적으로 원인 해소를 노리게 됩니다.

 

 

 

 

병변부위에 0.5mm 정도의 미세한 삽입구를 내고 내시경이 장착된 정밀 카테터를삽입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병변만을 찾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기존 보존적 치료를 통해 효과를 보지 못한 경우뿐만 아니라 근력 약화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 또는 큰 수술이 부담스러운 고령자나 당뇨, 고혈압 등 지병을 가진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척추내시경은 미세한 구멍을 통해 치료가 진행되므로 흉터가 작고, 근육을 비롯한 정상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최소절개로 진행되므로 출혈이나 감염, 합병증에 대한 우려가 적고 입원 기간이 짧아 빠른 일상복귀가 가능합니다.

 

 

 

 

많은 분들이 디스크 증상을 특정 부위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생각하십니다 그래서 목디스크 증상이 나타나도 근육통 증상이나 해당 증상 부위의 문제로만 생각하셔서 시행착오를 겪으시다 병을 키우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목 주변을 중심으로 이상 증상이 늘어나기 시작했다면 경추 신경 압박으로 인한 목디스크 여부를 의심해보시고 적극적으로 검사와 진찰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