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림동내과
위에도 혹이 생긴다고?
위 용종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는 체계는 선진국과 비교해도
크게 뒤처지지 않을 정도로 잘 돼있습니다.
하지만 개개인들의 바쁜 일상 속에서 건강검진을
미루는 경우는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지만
이렇게 건강검진을 미룰 경우에는 심각한 질환에
노출될 수 있으며, 질환에 노출되지 않았더라도
심각한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늘 이야기해 볼 질환은 바로 위 용종인데요.
그렇다면 위 용종이란 어떤 질환인지
저희 고림동내과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위 용종이란?
위 용종이란, 위 점막의 상피세포가 점점 자라나서
점막 위로 솟아올라 오는 혹으로, 위에 생긴 모든
혹을 일컫는 말입니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비종양성
용종이며, 용종은 흔히 내시경을 하다가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데, 비종양성이라고는 하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의와 상담 후 확실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위 용종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한다는 자료는 없으나 가족력 같은
선천적인 요인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후천적으로는 헬리코박터균이나 위축성 위염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위 용종의 종류
위 용종은 3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요. 증식성 용종,
염증성 용종, 흔히 위 선종이라고 불리는
선종성 용종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증식성 용종은 암 발전 가능성은 거의 없으나
드물게 악성으로 변화하여 위암이나 위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며, 2cm 이상의 용종은 암 발전
가능성이 커서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염증성 용종은 증식성 용종과 거의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 용종 또한 제거하는 것이
차후 2차 질환으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위 선종이라 불리는 선종성 용종은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용종으로
1~3년 정도 주기로 검사를 받는 경우에는 관리와
치료를 통해 충분히 예방이 가능하나 4년 이상으로
미뤄져서 불규칙적인 주기로 검사를 받게 되면
위암이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위 용종의 증상
위 용종은 다른 질환처럼 노출될 시에
어느 특별한 증상이 따로 나타나지는 않으며,
대부분 건강검진이나 내시경을 할 경우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용종 때문에 위 부위에서 눈에 보이는 출혈이
있거나 대변 잠혈 검사에서 양성으로 보고되는
경우에도 발견될 수 있으며, 또한 용종이 위에서
있다가 위치를 옮기는 과정에서 십이지장과
연결해주는 유문에 있다면 구토 증상이 일어나
폐쇄성 증상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위 용종의 치료법
위 용종은 위에서 언급했듯이 특별한 증상이
없기에 그만큼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위 용종의 대부분은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적은 용종이나 만약 크기가 2cm 이상이거나
전문의의 진단에 위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용종이라면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중요한데요.
처인구내과 용인서울병원에서는 위 용종의
가장 좋은 치료법은 위내시경을 통해 정기적인
검사를 받고,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위내시경의 주의사항
위내시경을 통해 정확한 검사 결과를
받기 위해서는 8시간 전부터 금식을 하시는 것이
좋으며, 위에 공기를 주입하여 검사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기에 배에 가스가 차는 느낌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때, 트림을 유발할 수 있으나 참는 것이 안전하고
편한 상태로 검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대게 검사 후 특별한 부작용은 없지만,
내시경 삽입 과정에서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수면 내시경의 경우 과도한 수면으로
인해 호흡곤란이 올 수 있으므로 호흡이
잘 유지되고 있는지 수시로 체크하면서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장 용종, 용인대장내시경 검사로 미리 발견해 제거해요 (0) | 2021.04.29 |
---|---|
감기와 다른 폐렴, 초기에 개선해요 [처인구내과] (0) | 2021.04.12 |
수지구내과, 만성 기침을 유발하는 폐렴 증상 (0) | 2021.03.05 |
기침 증상이 반독되는 원인 '폐렴' [고림동내과] (0) | 2020.11.04 |
감기와 비슷한 증상인 폐렴, 용인내과에서 원인과 증상을 알아보자 (0) | 2020.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