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지구내과 속쓰림과 복통을 유발
소화가 자주 안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보통
소화제를 많이 드시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합니다.
이렇게 소화가 자주 안되고 복통이 있다면 위염의
증상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위염은 흔히 소화가 안되고 상복부가 불편한 상태를
총칭하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체했다'라고 표현하는
상태가 모두 위염이라 할 수 있습니다.
위염에는 소화성 궤양, 좁은 의미의 위염과 같은
기질적 병변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과민성대장,
비궤양성 소화불량과 같은 기능성 위장 장애도
모두 포함됩니다.
원래 위염의 정의는 위점막의 염증을 나타내는
병리학적 용어이며, 이것은 여러가지 자극 및
손상 때문에 나타나는 위점막의 반응형성을
뜻합니다.
위염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과식, 청결하지 못한
조리 음식, 맵거나 자극적인 음식, 여러 약물에 의한
점막 자극도 원인입니다.
급성위염은 세균, 바이러스,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감염 이외에는 극심한
스트레스나 알코올, 약물에 의한 심한 자극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만성 위염은 점막을 자극하는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원인이 지속될 때 발생하며, 헬리코박터균의 감염이나
불규칙한 식사, 약물 섭취, 알코올 섭취가 상당 기간
지속된 경우에 나타나기 쉽습니다.
위염은 소화불량, 속쓰림, 신물, 복부 불쾌감의 가벼운
증상부터 극심한 복통, 구토, 두통, 발열의 중한 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 급성위염
보통 청결치 못한 음식이나 차고 매운 음식 또는 약물이나
알코올을 섭취한 후에 복부 불쾌감, 소화불량으로 시작되어
메스껍거나 오심, 구토, 복통까지 일으키게 되는데 개인에
따라 미열이 있거나 두통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 만성위염
염등이 6개월 이상 지속된 경우로 표재성 위염, 위축성
위염, 미란성 위염, 출혈성 위염, 비후성 위염, 담즙 역류성
위염 등 종류에 따라 증상이 다릅니다. 하지만 대체로
소화불량 복부팽만, 복부 불쾌감이라는 공통 증상을 보입니다.
급성 위염의 경우에는 출혈, 통증에 대한 조절과 함께
원인에 대한 치료를 하면 후유증 없이 회복됩니다.
다만 출혈이 심한 경우에는 구소적인 지혈술이나
혈관 색전술이라는 다소 어려운 치료방법이 동원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만성 위염의 경우에는 발병 원인에 관계없이 위장
점막에 이미 병적인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원래대로 되돌리기 어렵습니다.
만성 위염으로 진단된 경우에는 정기적인 위내시경 검사를
통해 위염의 정도가 변하는지 추적검사를 해야 하며, 추적
검사가 필요한 이유는 만성 위염의 일부에서 위선암 위릐
저막층에서 발생하는 발생률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음주, 흡연, 진통 소염제 남용 등은 반드시 교정해야
하며, 고혈압이나 당뇨병의 합병증을 막기 위해
아스피린을 먹는 경우 위염이 발생하면 담당의사와
상의하여 복용하는 약물을 바꾸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지구내과] 지속적인 속쓰림의 원인은? (0) | 2020.08.06 |
---|---|
용인내시경센터 정기적인 검사는 필수입니다. (0) | 2020.07.03 |
[처인구내과] 담낭염의 원인과 증상은? (0) | 2020.06.19 |
용인내시경검사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중요성 (0) | 2020.06.15 |
[용인서울병원] 췌담도내시경 알아보자 (0) | 2020.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