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서울병원

처인구관절병원 운동 후 계속 되는 어깨 통증 이유는?

용인서울병원2 2020. 8. 11. 11:52

처인구관절병원 운동 후 계속 되는 어깨 통증 이유는?

 

 

 

남,녀 노소 가릴 것 없이 많은 사람들은

여름철을 대비하여 이전부터 몸매를 가꾸는데 집중합니다.

이렇게 여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몸을 만들기 위해 헬스 등의 운동을 주로 많이 합니다.

이때 올바르지 못한 자세나 본인에게 맞지 않는 무게로

운동을 하는 등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어깨 부위에 가장 많이 부상을 입게 되는데

운동 후 어깨 통증이 생기는 경우 "어깨충돌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어깨충돌증후군은 어깨에 있는 힘줄인 회전근개가

위에 있는 견봉 뼈와 부딪힘으로 인해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이때 염증이 생기게 되며 점액낭이 붓게 되고 견봉이 아래로 돌출됩니다.

이를 "어깨충돌증후군" 또는 "견관절충돌증후군" 이라 합니다.

이 질환은 보통 어깨를 많이 사용하는

운동선수나 직업군에게 많이 발병하는 질환입니다.

최근에는 학생과 직장인 같은 하루 대부분을

좌식생활하는 사람들에게도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잘못된 자세로 물건을 들거나

외부로부터의 강한 충격에 의해 증상이 발병하기도 합니다.

이렇듯 어깨에 무리가 가는 경우

발병할 확률이 굉장히 높은 질환입니다.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주로 어깨를 움직이거나 사용할 때 통증이 나타납니다.

손가락으로 어깨 부위를 눌렀을 때 통증이 나타나고

팔을 올리는 행동을 취할 때나 팔에 힘을 주고 움직일 때

통증이 선명하게 나타납니다.

또한 어깨 속에서 걸리는 듯한 소리가 나기도 하며

어깨에 힘을 빼면 통증이 사라지기도 합니다.

증상이 심해지게 되는 경우 통증으로 인해 수면 중 깨기도 합니다.

 

 

 

 

어깨충돌증후군이 의심되는 분들은 자가진단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1. 어깨 쪽에 지속적으로 통증이 느껴지고 통증이 있는 쪽으로 누울 때 통증이 심한 경우

2. 팔을 들어 올릴 때 통증이 심한 경우

3. 통증으로 인해 어깨 운동에 제한이 생기는 경우

4. 힘을 주었을 때 통증이 심하다가 힘을 빼면 통증이 사라지는 경우

5. 어깨를 움직일 때 걸리는 듯한 소리가 나는 경우

 

 

 

 

처인구관절병원 용인서울병원에서는

관절내시경을 통해 어깨충돌증후군을 치료하고 있습니다.

관절내시경은 어깨나 무릎 등 관절의 상태를

병변 부위에 내시경을 삽입한 후 관절 내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며,

미세한 절개 부위를 통해 초소형 카메라가

달린 침을 이용해 손상된 부위를 치료합니다.

이같이 관절내시경은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치료법입니다.

 

 

 

 

관절내시경을 이용해서 피부의 작은 구멍을 통해

초소형 카메라를 삽입하여 실시간으로 손상부위를 확인하는 동시에 치료합니다.

또한 MRI에서 발견하지 못한 부위까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는 절개부위가 작아서 흉터의 크기도 작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어 고령이나 당뇨, 고혈압 등의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도 부담없이 안전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회복 속도가 빨라서 일상생활로 빠른 복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어깨충돌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장시간 앉아서 생활하는 경우 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꾸준한 스트레칭을 통해 경직된 근육과 긴장감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운동을 하기 전 가벼운 스트레칭을 통해

뭉쳐있는 어깨 근육을 풀어주고 운동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어깨통증은 우리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질환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어깨 통증에 대해 크게 신경을 쓰지 않고 있습니다.

어깨충돌증후군은 방치하게 된다면

회전근개파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평소 통증이나 증상이 나타난다면

처인구관절병원 용인서울병원에 내원하셔서

상담을 통해 알맞은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