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용인관절내시경치료 회전근개파열 단계별 치료

용인서울병원2 2022. 6. 10. 21:25

 

 

 

 

일상생활에서 어깨 통증은 흔한 증상중 하나입니다. 대개 파스를 붙이거나 찜질을 해주고, 푹 쉬면 통증이 언제 그랬냐는듯 가시기 때문에 그리 심각하게 여기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어깨 통증을 방치했다가 극심한 통증과 증상으로 병원을 방문한 이후, 어깨 질환을 방치하여 증상이 악화되었다는 진단을 받기도 하는데요. 대표적인 질환이 바로 회전근개파열입니다.

 

 

 

 

 

 

1. 회전근개파열이란?
 

 

 

 

어깨는 인체의 수많은 관절 가운데 유일하게 360도 회전이 가능하며, 어깨관절의 원활한 운동과 사용을 위해서는 극상근, 극하근, 견겹하근, 소원근 등으로 구성된 회전근개 힘줄이 서로 통합, 유기적으로 작용해야 합니다. 그러나 4개 힘줄 가운데 한 개 이상이라도 손상 또는 파열되면 어깨의 움직임에 이상이 생길 수 밖에 없는데 이를 회전근개파열이라 합니다

 

 

 

 

 

 

2. 회전근개파열이 생기는 원인

 

 

 

 

 

회전근개파열은 주로 극상근같은 일부 근육이 파열되면서 발생합니다. 정확한 매커니즘은 아직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어깨 힘줄을 통과하는 혈관이 혈액순환이 감소로 인해 어깨 부위를 감싸는 힘줄 등의 연부조직이 허혈 상태에 접어들어 섬유화가 진행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과도한 관절 운동으로 마모가 되면서 파열되는 것을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3. 이런 일이 잦아졌다면 회전근개파열!

 

 

 

 

회전근개파열은 극상근 등 일부 근육과 힘줄만 파괴되므로 팔을 어깨 너비까지 들때는 극심한 통증이 있지만 오히려 그 이상으로 팔을 들면 팔을 머리위로 완전히 들면 통증이 감소하거나 사라집니다. 또한 결정적으로 타인의 도움이 있다면 수동적인 관절운동이 가능합니다.

 

 

 

①다른 사람의 도움이 있으면 팔 들기가 가능합니디.

②아픈 쪽으로 돌아누우면 통증이 더 심해집니다.

③여성들의 경우, 브래지어 끈을 풀기 어렵고, 등 뒤로 손을 올리기가 힘듭니다.

④어깨 뒤쪽이 꺼져보입니다(근육 위축에 의한 증상)

⑤팔을 들어올리면 아픈데, 오히려 팔을 다 들면 통증이 사라집니다.

⑥어깨를 다친 후, 극심한 통증으로 어깨를 움직이기 어렵습니다

⑦어깨를 돌리면 두두둑 거리는 마찰음이 들립니다.

⑧운동을 강도 높게 하면 팔의 중간부분까지 통증이 발생합니다.

 

 

 

 

 

 

4. 회전근개파열을 해결하려면?

 

 

 

 

회전근개파열은 방치시, 1년에 4~6mm씩 파열 범위와 정도가 커질뿐만 아니라, 손상 부위도 변성이 발생합니다. 파열부위가 시간이 경과할수록 기존의 탄성 있는 섬유질 조직에서 지방조직으로 변화하면서 봉합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경미한 수준의 회전근개파열은 주사치료, 물리치료, 약물치료, 도수치료 등 보존적,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증상 완화를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피부조직과 달리 혈관 분포가 적은 연부 조직(근육, 인대, 힘줄 등)은 손상을 스스로 치유, 재생하기 보다는 누적시키기 때문에 파열된 범위가 넓은 경우 또는 비수술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손상 범위가 점점 확대된다면 관절내시경을 통한 견봉봉합술을 고려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관절내시경 수술은 약 5mm 정도의 최소절개 후, 작은 구멍을 통해 내시경 카메라를 삽입한 뒤 찢어진 회전근개를 봉합하는 수술방법입니다. 병변 부위를 직접 관찰하면서 파열 및 손상에 대응, 치료할 수 있어 정확도가 높습니다.

 

 

 

C-arm 실시간 영상장치를 통해 의료진이 병변 부위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CT, MRI 영상의학 장비로도 파악하지 못했던 손상이나 파열까지 파악이 가능합니다. 기존절개술보다 정밀하게 환부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주위의 정상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아 안전한 치료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회전근개파열 치료후 재발방지를 위해 어깨에 과도한 압박을 줄 수 있는 운동이나 활동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어깨관절질환은 어깨통증과 운동제한을 동반하는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상 증상이 있을 경우 정확한 처방과 치료를 위해 지체없이 정형외과를 방문하는 것이 현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