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처인구척추관절병원 허리가 뻣뻣하면서 통증이 발생

용인서울병원2 2020. 6. 17. 16:39

처인구척추관절병원 허리가 뻣뻣하면서 통증이 발생

 

척추에 염증이 생기는 강직성척추염.

강직성척추염은 만성 관절염의 일종으로

척추의 주 병변이 특징이지만 엉덩이, 무릎,

어깨 등의 관절에도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강직성 척추염은 척추에 염증이 생겨 허리가

뻣뻣하게 굳는 질환이며, 잠을 자고 일어난 후에

뻐리가 뻣뻣하면서 통증이 발생합니다.

 

강직성척추염은 주로 20~30대 남성에게 많이 발생

하며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HLA-B27

이라는 유전자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밖에도 면역력이 떨어진 경우, 세균감염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칩니다.

척추와 엉덩이 관절 뿐 아니라 무릎, 어깨 등의 관절이

붓거나 발꿈치, 갈비뼈에 통증이 나타나며, 질환을

방치하면 허리, 등, 목이 굽은 채로 굳어 허리를 펼

수가 없으며, 완전히 굳지 않더라도 허리가 뻣뻣하고

지속적인 관절통증이 나타납니다.

강직성 척추염은 아침에 일어났을 때 통증이 심하며

움직이면 좋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밖에도 허리가 얼마나 굽혔는지, 숨을 쉴 때

가슴둘레가 얼마나 늘어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진단합니다.

해당 관절의 엑스레이 검사, 피 검사 등을 시행해

볼 수는 있지만, 아직까지 확진을 내릴 수 있는

검사는 없으며, 진단을 위해 여러가지 판정 기준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강직성 척추염은 조기에 진단해 절절히 치료 한다면

척추 강직이나 염증을 완화할 수 있는데요, 질환 초기

라면 수술없이 약물치료, 운동치료로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강직성 척추염은 수술을 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척추에가

완전히 굽은 채로 굳어 일상생화을 할 수 없는 경우

굽은 척추를 곧게 펴는 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강직성 척추염으로 엉덩이 관절염이 심해진 경우

인공 고관절 치환술로도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젊은 남성 중 이유없는 허리와 골반 통증이

일정 기간 지속되는 경우, 가족 중 이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에는 가벼운 증상이라도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고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강직성 척추염은 적절한 치료와 함께 생활 속에서

바른 자세를 유지하면 척추가 잘못된 자세로 굳는

것을 피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관절을 유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허리,

어깨 등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을 꾸준히 해주면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