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외과

발바닥에 통증이 있어요. 원인은 족저근막염! 용인신경외과에서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용인서울병원2 2021. 2. 9. 14:31

 

발바닥에 통증이 있어요.

원인은 족저근막염!

용인신경외과에서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발은 제2의 심장 혹은 인체의 축소판이라고

불릴 만큼 중요한 구조물이며, 일상생활을

위해서 걷거나 서서 일을 하다 보니 발바닥에

통증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발바닥에 통증이 간헐적이로 나타난다면

다행이지만 지속적이거나 쉬었다 다시 걷기

시작할 때 통증이 다시 나타난다면 족저근막염을

의심해보셔야 합니다.

 

 

 

 

족저근막염은 무엇인가요?

 

족저근막은 발뒤꿈치부터 발바닥 앞쪽까지

형성된 근막으로, 발 모양을 유지하는 동시에

걸을 때 발에 생기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족저근막에 반복적인 부담이

가해지면서 염증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서

통증을 유발하는 상태가 되는 것을

족저근막염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이 있나요?

 

족저근막염은 평소에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해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생활 속에서의 발병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하이힐, 구두와도 같은 굽이 높고 아치가 좁은

신발을 자주 신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체중 조절에 실패하여 과체중이 될 경우에

족저근막에 심한 부담이 가해질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발바닥 모양이 평평하거나 너무 오목하게

굴곡진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나이가 들면서 발뒤꿈치의 지방 패드가

퇴행성 변화로 인해서 줄어들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순간적으로 족저근막이 강하게 늘어나 펴지면서

손상을 받을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반복적인 손상과 회복 과정에서 발뒤꿈치 뼈에

돌기가 자라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평소 기본적인 운동을 잘하지 않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아킬레스건이 긴장된 상태로 있거나,

종아리 근육이 단축된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이 발병한다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족저근막염은 임상적으로 흔한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인의 발바닥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로 뽑히고 있습니다.

 

이처럼 족저근막염의 증상으로는 대부분의

발뒤꿈치 내측에서 통증을 느끼며, 발의 안쪽에도

통증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특징적인 점으로는 아침에 처음 몇 걸음을

걸을 때 수면 중에 수축되어 있던 족저근막이

펴지면서 심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또한 오랜 시간 걷거나 서 있을 경우에 통증이

심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증상과 통증의

강도는 처음 발생 이후 일정 기간 점진적으로

심해지면서 보행에 장애가 생기면서 무릎이나

고관절 및 척추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족저근막염의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족저근막염은 증상이 미미할 경우에는

보존적 치료를 통해서 증상의 완화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보존적 치료법으로는 체외충격파 치료나

물리 치료 등을 통해서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으나

만약 증상이 심각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이 생긴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저희 용인신경외과 용인서울병원에서는

손상된 족저근막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족저근막 유리술을 통해서 수술이 가능합니다.

 

족저근막 유리술은 손상된 부위에 2mm 정도의

작은 내시경을 삽입하여 직접 확인한 뒤에

치료하는 수술법으로 관절내시경 수술법과

비슷한 수술법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근막 유리나 골극 제거가 가능하여

수술 후의 통증이나 회복 기간이 기존의

다른 수술법에 비해 훨씬 단축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용인서울병원에서 알려드리는

족저근막염의 예방법!

 

족저근막염을 예방하는 방법으로는

적절 체중을 유지해 줌으로써 발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좋은 예방이

될 수 있으며, 무리한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여성분들의 경우에는 하이힐이나 구두 같은

굽이 높고 아치가 좁은 신발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쿠션이 충분한 신발을 신는 것이 발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