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목과 어깨의 지속적인 뻐근한 느낌 알고 보니 목 디스크? 기흥구정형외과에서 알아보자!

용인서울병원2 2021. 2. 18. 14:14

 

목과 어깨의 지속적인 뻐근한 느낌

알고 보니 목 디스크?

기흥구정형외과에서 알아보자!

 

 

 

 

우리의 신체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인 목은

소아기에는 2~3kg 정도 성인의 경우에는 4~5kg

정도 되는 머리를 받치고 있으며, 평생 동안 머리와

몸통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목과 몸통을 이어주는

중심적인 역할은 경추가 하고 있는데, 경추는

척추의 시작 부분이기도 하며, 머리에서 몸으로

이어지는 신경의 통로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최근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해서

목디스크와 같은 다양한 척추질환에 노출되어

있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목디스크란?

 

목디스크는 경추뼈와 뼈 사이에 존재하는 추간판이

탈출하거나 파열되어 신경을 압박하는 과정에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이는 일상생활에서의 잘못된 습관이나 자세를 통해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데,

목디스크는 성별이나 나이에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으며 몸에서 중심이 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질환에 걸릴 시에 일상생활에 심각한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목디스크가 발생하는 원인은?

 

목디스크는 일반적으로 노화가 진행되면서

추간판의 수분이 점점 빠지면서 섬유륜이 찢어지게

되면서 나타나는 것이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잦은 전자기기 사용과 장시간

앉아 있는 시간이 많은 직장인들 또한 목디스크

질환에 노출되고 있습니다.

 

또한 스포츠 활동이나 레저활동의 증가로 인해서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목에 무리한

힘이 들어가는 경우도 원인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 밖에도 선천적으로 경추가 약하거나 뼈의

기형이 발생할 경우에 일어날 수 있으며,

잘못된 자세나 습관을 지속적으로 가하는 경우에

추간판이 탈출하거나 파열되는 경우가 있으며

외부의 강한 충격에 의해서 목디스크가 나타날 수

있지만 이는 강한 충격을 받아아 일어나는 경우가

드물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목디스크의 증상은?

 

목디스크 질환에 노출되면 목뿐만 아니라 어깨와

팔, 손 등의 부위에도 통증과 함께 저리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추간판의 탈출이나 파열 정도에 따라 신경을

압박하는 강도가 달라지게 되는데, 압박되는

신경에 따라 감각이 둔해지거나 두통과 어지럼증

및 이명 현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통증 때문에 잠을 설치는 경우가 많으며, 심각하면

소화장애나 우울증 등 신경성 질환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목디스크의 치료법은?

 

목디스크를 초기에 발견할 경우에는

보존적 치료법을 통해서 통증을 완화시키거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느 정도 증상이 심화되어 보존적 치료가

어려울 경우에는 인공디스크 치환술을 통해서

치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인공디스크 치환술은 손상 정도가 심한 추간판을

대신하여 인체적으로 설계된 인공 디스크를

삽입하는 수술을 말합니다.

 

대부분 디스크 수술의 경우에는 등 쪽에서

절개하여 수술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무수히 많은

신경이 존재하는 척추 쪽을 절개하지 않고 배꼽

밑쪽을 절개하여 손상된 디스크를 제거하고

인공 디스크를 삽입하는 방법입니다.

이 수술법은 퇴행성 관절염이나 무혈성 괴사 등의

환자들에게도 적용이 가능한 수술이기도 합니다.

 

인공디스크 치환술의 장점으로는 중요한 신경을

건드리지 않고 손상된 디스크만을 제거하기

때문에 후유증이 생길 확률이 적으며, 다른 관절

질환에도 이용이 가능하여 다양한 관절 질환에

이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수술 후 다음날 보행이 가능하며 허리의

움직임도 가능하기 때문에 3~4일 정도의 짧은

입원 기간을 거치면 퇴원하여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목디스크를 예방하는 방법은?

 

- 장시간 고개를 숙이거나 젖히는 행동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 바른 자세로 앉아 있는 것이 중요하며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에는 스트레칭을 통해서

굳어있는 관절과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 걷기 운동을 통해서 몸에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며 척추의 균형을 잡아주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