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절과 척추 건강을 위해서 코어 근육을 키우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관절과 척추를 지탱하는 것이 단단한 통뼈같이 뼈뿐만 아니라 뼈 주변의 근육과 인대를 통해서도 지탱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코어운동으로서 스쿼트, 벤치 프레스 등 중량을 더해 운동을 하시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 과정에서 무리를 하시다 오히려 무릎 인대 파열을 비롯하여 회전근개파열 같은 어깨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1. 회전근개파열이란?

2. 회전근개파열은 왜 생길까?


회전근개파열은 어깨 힘줄의 퇴행성 변화로 인한 노화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다수는 스포츠 또는 많은 근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을 시행하며 반복적으로 어깨 관절을 무리하게 사용할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상을 입는 부위도 어꺠 힘줄 가운데 팔을 옆으로 들어올리는 작용을 하는 “극상근”에서 많이 생깁니다. 이러한 극상근에서 발생한 힘줄 손상과 염증으로 인해 어깨 관절 운동시 통증의 주요한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3. 단순 어깨 부상과 회전근개파열의 차이는?

회전근개파열 발병시 어깨의 삼각근 주변부라고 할 수 있는 어깨의 앞쪽, 옆쪽, 아래 쪽까지 심한 어깨
통증이 있고, 관절 운동 제한으로 타인의 도움이
있어야 겨우 팔을 들 수 있을 정도입니다.


특히 이러한 관절 운동 제한은 팔을 앞이나 뒤로 들어올릴 때보다 60~120도 가량 옆으로 들어올리려고 할 때 통증이
가중됩니다. 그밖에 팔의 드는 힘이 줄어들고, 관절이 삐걱대고, 밤에 통심이 극심하여
수면장애를 겪을 수 있고, 어깨결림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어깨 통증과 결림은 목디스크일때도 발병할 수 있는 증상이므로 정확한 상태와 질환을 파악하기위해서는 이상 징후가 있을 때 정밀검사와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4. 운동으로 생긴 부상은 운동으로 푼다?

운동을 하다보면 운동으로 생긴 피로와 부상은 운동으로 풀어야한다며 오히려 이런 통증은 근육이 생기고 건강해지는 신호라고 말하시는 분도 있습니다.
하지만 근육과 힘줄은 피부조직처럼 재생 활동이 활발한 인체 조직이 아닙니다.


만약 파열 부위를 적절한 의학적 조치없이 자연 치유를 기대하시며 그냥 두신다면 파열 범위는 1년에 4~6mm씩 확대될 뿐만 아니라 근육이 지방으로
변성되며 근육 손실이 일어나 봉합이 어려워질 수도 있지요. 따라서 회전근개파열은 초기 대응이 중요합니다.
진단결과 부분파열로서 파열 정도가 50% 이하로서 경미한 정도라면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 적용을 통해
증세를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손상 범위가 50%이상으로 확대된 경우라면 수술적 조치를 적용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과거와
같은 절개 수술대신 관절 내시경으로 진행하여 수술로 인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관절내시경은 C-arm 실시간 방사성 영상장치를
활용하여 관절과 손상 부위를 정밀하고 꼼꼼하게
관찰하면서 절개 수술로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까지도 파악하여 치료가 가능합니다.

무엇보다 힘줄과 근육은 매 순간, 매일 미세 손상까지도 자연 치유없이 축적을 시키는 부위이므로 운동을 하실때는
내 몸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처방받아 진행하시고 이상 징후가 있다면
병원을 방문하셔서 점검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인구정형외과 엎드려 자면 안 되는 이유 (0) | 2022.04.04 |
---|---|
용인오십견 팔도 제대로 들 수 없는 어깨통증은 어떻게? (0) | 2022.03.31 |
첫번째부터 세번째 손가락 저림 용인손목터널증후군에서는? (0) | 2022.03.26 |
자꾸 굽는 허리 짧아지는 보행거리 용인척추관협착증 대책 (0) | 2022.03.26 |
반월상연골파열 용인무릎관절 해법은? (0) | 2022.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