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33

용인척추병원 이 나이에 허리디스크라니

허리디스크하면 퇴행성 척추질환으로서 중장년층 환자들이 대부분일 것이라고 떠올리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최근 정형외과를 방문하는 환자분들을 보면 허리디스크에도 연령파괴 바람이 분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20~30대 환자수가 부쩍 늘었습니다. 심지어 아직 퇴행성 변화는 커녕 노화조차 어울리지 않는 10대 청소년 환자들이 허리디스크로 인한 허리통증으로 진료실을 방문할 정도입니다.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21년도 허리디스크 연령별 환자수를 살펴봐도 알 수 있습니다. 남자 환자 수 여자환자 수 10~19세 15,191 9,441 20~29세 79,789 50,976 30~39세 122,608 86,706 이렇게 젊은 허리디스크 환자수가 급증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는 허리디스크의 발병 원인 패턴에서 변화가 ..

정형외과 2022.09.14

용인 목디스크 내 나이가 어때서

인체에는 총 23개의 디스크가 존재합니다. 제1경추, 제2경추를 제외한 모든 척추뼈 사이에 존재합니다. 그리고 디스크의 가장자리는 섬유륜이 둘러싸고 있고, 이 섬유륜 내부에는 액체 젤리 같은 흰색의 “수핵”이 있습니다. 이 수핵이란 조직 덕분에 척추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고, 우리 몸을 자유롭고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수핵은 수분과 콜라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면서 이 함량이 줄어들면서 경직되고, 제대로 완충작용을 못하면서 척추에 가해지는 압박이 증가하게 됩니다. 그 결과, 디스크 수핵이 후방으로 이탈하면서 주변을 지나는 신경을 자극하여 우리 몸에 통증과 저림으로 나타납니다. 그것이 바로 추간판탈출증입니다. 이것이 목에서 발생하면 경추추간판탈출증, 우리가 아는..

정형외과 2022.09.13

용인정형외과 허리 아픈 이유부터 짚어보면

척추는 체중의 60%를 지탱합니다. 이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척추 구조가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있어야 효율적인 무게 분산이 가능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척추는 S자 커브를 띠고 탑을 쌓듯 층을 이룬 배열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위쪽 척추가 아래쪽 척추보다 앞으로 빠지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이러한 정렬이 무너지게 되면 척추 변형뿐만 아니라 극심한 요통과 하지저림을 비롯한 각종 증상을 야기할 것입니다. 바로 척추전방전위증을 두고 하는 이야기입니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이름 그대로 척추가 앞으로(前方) 위치가 바뀌면서(傳位)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척추 후방에 위치한 후관절의 문제로 위쪽 척추체가 아래 척추체보다 앞으로 돌출된 상태입니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선천적인 척추모양변형, 수술후 합병증, 퇴행성변화, 외..

정형외과 2022.09.07